안녕하세요, 오늘은 하지정맥의 내부조직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정맥의 조직학

 

정맥벽은 내막, 중막, 외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맥의 내막은 단일층의 혈관내피세포와 기저막 그리고 탄력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혈관내피세포는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prostacyclin을 분비하여 혈소판의 응집을 막아서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주요 기능을 합니다

중막은 혈관평활근세포와 탄력조직 및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수시로 변화돠는 정맥 직경은 중막에 존재하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수축 정도에 의해서 조절됩니다

중막의 혈관평활근세포는 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의 지배를 받으며, 온도,운동, 통증, 감정자극, 그리고 국소적 혹은 혈중으로 분비되는 호르몬 인자 등에 의하여 수축 혹은 이완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정맥 크기의 변화는 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외막은 정맥벽에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서 콜라겐과 맥관벽 혈관, 그리고 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맥에 비하여 정맥이 뻣뻣한 이유는 많은 양의 콜라겐을 동맥보다 상대적으로 정맥이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맥 구경에 따라 정맥벽의 조직학적 구성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작은 정맥인 세정맥은 직경이 0.2~1mm정도로써 주로 혈관평활근 세포로 구성된 얇은 중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직경1~9mm인 중소정맥은 세정맥에 비해서 혈관평활근 세포가 적습니다.

대퇴정맥, 장골정맥, 대정맥 등의 큰 정맥에는 평활근 세포가 적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정맥의 수축능력은 미미합니다.

정맥내의 압력은 정상 사태에서는 대부분 0mmHg에 가깝습니다. 만일 정맥내 압력이 15mmHg정도가 된다면 해당 정맥의 부피는 약 250%정도 증가되었음을 의미합니다.

 

2. 정맥판막(Venous Valve)

 

중력과 흉복부의 압력에 대항하여 정맥의 피가 심장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펌프로서 작용하는 하지근육과 정맥판막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여야 합니다. 정맥판막은 일방성의 이첨판으로 되어 있어 하지 정맥의 혈류는 표재정맥에서 심부정맥으로,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나예외적으로 하지 발목의 복사뼈 하방에서는 발의 심부에서 표재방향으로 정맥혈류가 흐르게 되어 있습니다.

 

전신적으로 볼 때 정맥판막은 하지에 가장 많고, 중앙 정맥계로 갈수록 그 수가 적어집니다. 표재정맥인 대복재정맥에는 10~13, 소복재 정맥에는 7~13개의 정맥판막이 존재하는데요, 전경골정맥에는 10개 내외, 후경골정맥에는 10~20, 비골정맥에는 7개 내외, 슬와정맥에는 1~2개의 정맥판막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심대퇴정맥과 총대퇴정맥 연결부 직하방에는 90%정도에서 정맥판막이 있으며, 서혜부인대 직하방의 총대퇴정맥에는 67% 정도에서 정맥판막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정상판막 상태 : 정맥혈류의 역류를 막는다. () 판막부전상태 :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못해 정맥혈류가 역류되고 있다.>

 

장골정맥에는 7~24% 정도에서 정맥판막이 발견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하지에는 총 200개정도의 정맥판막이 존재합니다.


3. 심부정맥계

 

발의 심부정맥에는 족저정맥과 배측정맥이 있으며 이들은 장딴지의 심부정맥인 전,후 경골정맥과 비골정맥으로 유입되는데요, 장딴지에 존재하는 비복근과 넙치근 내부의 정맥동은 대부분 비골정맥으로 유입되는 것입니다

장딴지의 심부정맥들은 인접 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슬와에서 합쳐져서 슬와정맥이 됩니다. 슬와정맥은 슬와동맥을 따라 상방으로 진행되며 대퇴부 상방에서는 대퇴정맥으로 이어져 대퇴동맥의 내측에 위치하게 됩니다. 대퇴정맥은 서혜부인대 상방에서 외장골정맥으로 이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에서 심장으로 가는 정맥 혈액의 90%는 심부정맥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하지의 주요 심부정맥 해부도>

 

 4. 표재정맥계

 

정맥 중 대표적인 정맥인 대복재정맥과 소복재정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대복재정맥(Great Saphenous Vein)

대복재정맥에 대한 영문 명칭은 greater 혹은 long saphenous vein 등으로 기술되어져 약어로 표시될 때 GSV 혹은 LSV 등으로 표시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어는 소복재정맥의 영문 표기법인 small, short 혹은 lesser saphenous vein의 약어인 SSV 혹은 LSV 등과 혼동이 초래되어, 2004년 International Union of Angiology에서 하지 정맥에 대한 명칭을 통일할 때 "great saphenous vein"으로 하고 약어로 GSV로 기술하도록 하였습니다.

대복재정맥은 발등과 발바닥에서 유입된 정맥이 합쳐지는 곳인 내측 복사뼈 앞쪽에서부터 시작되는것을 알수 있는데요. 

대복재정맥은 표피층을 따라 경골의 전내측으로 상방으로 연속되어 무릎에 도달하면 슬개골의 내측연 후방 8~10cm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퇴부 내측을 따라 표피층에 위치하면서 상방으로 연속되다가 상부의 대퇴부에서는 Scarpa근막보다 심부로 이동되어 난원와의 총대퇴정맥과 연결되며 이곳을 saphenofemoral junction이라 부릅니다. 

<대복재정맥의 해부도>

 

 환자의 약 8%에서는 대복재정맥이 두개 존재하며, 복재신경은 대복재정맥 주행을 따라 앞쪽에 위치합니다.


(2) 소복재정맥(Small Saphenous Vein)

소복재정맥 대한 영문 표기법은 small, short 혹은 lesser saphenous vein 등 다양하게 기술되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2004년 International Union of Angiology에서 하지정맥에 대한 명칭을 통일할 때 "small saphenous vein"으로 하고 약어로 SSV로 기술하도록 했습니다.

소복재정맥은 발등과 발바닥에서 유입된 정맥이 합쳐지는 곳인 외측복사뼈(lateral malleolus) 뒤쪽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장딴지의 피하층을 따라 상방으로 연속되어 두개의 비복근 사이에서 심부 근막을 관통하여 슬와정맥과 연결됩니다. 소복재정맥의 종점은 매우 다양한데요, 가장 흔하게는 슬관절 하방의 슬와정맥에 연결되지만 표피층을 따라 상방으로 연속되어 대퇴부에서 대복재정맥과 연결되기도 하는데 이때 소복재정맥과 대복재정맥 사이에 있는 정맥을 Giacomini 정맥이라 부릅니다.

소복재정맥의 주요 분지인 외측 궁정맥은 장딴지 외측에 존재하며, 슬와 직하방에서 소복재정맥과 연결됩니다. 

비복신경은 소복재정맥의 외측에 위치합니다.

<소복재정맥의 해부도>


(3) 관통정맥(Perforator Vein)

관통정맥은 근막을 관통하여 표재정맥과 심부정맥을 연결시키는 정맥으로서 이곳에 존재하는 정맥 판막은 표재정맥으로부터 심부정맥으로 정맥 혈류가 흐르도록 되어있으며, 

한쪽 하지에 약 200개의 관통정맥이 있습니다.

<관통정맥의 해부도>

관통정맥 판막 부전이 있는 경우는 장딴지의 심부정맥의 혈류가 지속적으로 표재정맥으로 흐르게 되어 정맥류가 발생되기도 하며, 피부에 전달되는 높은 정맥압은 피부에 림프관염을 일으키고 영양 공급을 방해하여 정맥성 피부염 및 피부변성 그리고 피부궤사를 유발시키게 됩니다. 


(4) 교통정맥(Communicating Vein)

표재정맥 혹은 심부정맥의 동일 정맥계에서 서로 다른 정맥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정맥을 교통정맥이라고 합니다. 교통정맥은 정상 상태에서는 큰 역할이 없으나 심부정맥 혈전증 발생시 새로 생성되거나 크기가 커져서 정맥혈류를 도와주는 측부혈관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하지정맥의 내부조직 및 해부도를 통해 하지정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하지정맥의 생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다른글보기>

2018/08/19 - [건강정보] - 치매 ,그것에 대한 오해 - 노인만 걸리는 병일까?

2018/08/19 - [건강정보] - 치매 증상의 진행 3단계

2018/08/26 - [건강정보] - 다이어트 도움 - 변비에 좋은 채소과일은?


많은 분들께 꿀팁을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Posted by 정보루시
,